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성평등가족부로의 부처 개편 구상을 제시하며 정책 의지를 강조했지만, 그를 둘러싼 갑질 의혹과 언행 불일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보좌진에게 사적인 지시를 했다는 구체적인 대화 내용이 드러나며, 청문회를 앞두고 여론의 시선은 더욱 차가워지고 있다.
강 후보자는 최근 국회에 제출한 서면 질의 답변서에서 "성평등가족부는 성별에 의한 불공정을 바로잡고 모두에게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제공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성폭력 피해자 보호, 청소년과 한부모 가족 지원, 디지털 성범죄 대응 등을 주요 정책 과제로 내세우며, 부처 간 조정 기능 강화도 강조했다.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강 후보자가 여성가족 정책에 대한 전문성과 장관으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갖췄는지를 두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보좌진에게 사적인 업무를 시켰다는 정황이 담긴 녹취록과 과거 태도에 대한 문제 제기가 겹치면서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SBS는 강 후보자가 자택 변기 수리를 보좌진에게 요청한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해당 대화에서 강 후보자는 "부탁이 있다. 자택 변기에 물이 심하게 새고 있으니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고, 보좌진은 "수리를 마쳤다"고 응답했다. 이에 강 후보자는 "알았다"고 답하며 사실상 사적 지시를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자는 앞서 "보좌진에게 수리를 부탁한 적 없다"고 해명했지만, 녹취 내용과는 배치돼 신뢰성에 큰 타격을 입었다.
박점규 직장갑질119 운영위원은 이에 대해 "사적 심부름을 직원에게 시킨 것은 명백한 직장 내 괴롭힘"이라며, 이는 고용노동부의 매뉴얼에도 위배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논란은 자택 쓰레기 처리를 보좌진에게 지시했다는 의혹이다. 해당 의혹은 더불어민주당 보좌진 단체에 진정으로 접수된 바 있으며, 국회 보좌진들의 익명 게시판에서도 관련 내용이 재조명됐다. 글에는 "손을 억지로 잡은 뒤 차량에 타자마자 손소독제로 샤워하는 사람이, 집 쓰레기는 못 만져 수행비서에게 분리수거를 시켰다"는 비판이 담겼다. 당시 강 후보자 측은 이 게시글의 작성자를 특정하기 위해 전직 보좌진을 상대로 확인에 나섰던 것으로 전해졌다.
보좌진 교체가 지나치게 잦았던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강 후보자는 국회의원 재직 5년 동안 보좌진 면직이 총 46건에 달했다. 일부는 재임용이나 승진 등으로 인한 경우일 수 있으나, 이 같은 빈번한 인사 변동은 조직 내 갈등과 운영 불안을 방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책과 실제 행동의 괴리도 도마 위에 올랐다. 강 후보자는 2020년 스쿨존 신호 위반자에 대한 처벌 강화 법안을 대표 발의했으나, 2022년 스스로 스쿨존 내 신호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실이 밝혀졌다. 더구나 해당 과태료는 장관 지명 다음 날에서야 납부돼, 시기 조절 논란까지 일었다. 이에 대해 강 후보자 측은 "직접 운전한 것이 아니라 수행 비서관이 운전했다"고 해명했지만, 책임 회피성 발언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강 후보자를 비롯한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인사들을 두고 "비리 종합세트"라고 비판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과거 강 후보자가 이재명 대통령 단식 당시 이불을 덮어주는 장면을 언급하며, "상부에겐 아첨, 하부엔 갑질로 일관하는 이중적 인물"이라며 날을 세웠다.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도 "강 후보자는 2020년 태움 방지법을 발의했지만, 실제로는 보좌진에게 직장 내 괴롭힘을 가했다는 의혹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를 통해 강 후보자의 해명을 직접 들을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의혹이 사실인지 여부는 청문회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후보자는 과거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범죄 사건에 대해 "대법원 판결을 존중한다"며, 장관으로 임명될 경우 권력형 성범죄 재발 방지와 피해자 보호에 힘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이 해당 사건들을 둘러싸고 보여준 소극적인 대응에 대한 반성과 구체적인 입장 표명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성평등가족부의 비전을 내세운 강 후보자가 과연 공직자로서의 자질을 갖췄는지, 그리고 정책과 실제 언행이 얼마나 일치하는지는 오는 14일 인사청문회를 통해 검증받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