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민생공약 실현을 위한 협의체 재가동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7일 7월 임시국회 개회일에 맞춰 정책위의장 간 회동을 갖고, 과거 대선 당시 각 당이 약속한 공통공약을 중심으로 실무 협의를 시작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회동에는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이정문 수석부의장, 김정재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김은혜 국민의힘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참석했다. 양당은 회의에서 ‘민생 공통공약 협의체(가칭)’를 재가동하고, 실무 수준에서 협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약 200건, 국민의힘은 약 110건의 공통 공약을 각각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양당은 실무 논의를 통해 실현 가능성과 국민 체감도가 높은 공약들을 우선적으로 선별해 입법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김은혜 수석부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민생이 매우 어려운 시기이며, 여야가 정책적으로 협력할 경우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공통공약협의체를 위한 실무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쟁점 법안을 둘러싼 양측의 시각차는 여전히 뚜렷하게 드러났다. 회동 모두발언에서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노란봉투법, 양곡관리법, 농업4법, 방송3법, 화물차운수사업법 등을 거론하며 "이들 법안에 대해 이견이 큰 만큼, 일방적인 처리가 아닌 여야 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이 국회에서 다수 의석을 가진 만큼, 협의 없이 입법을 강행하는 것은 결국 국민의 불편과 반발을 초래할 수 있다"며 협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에 대해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정치적 입장 차이로 이견이 있는 법안이 적지 않지만, 최대한 협의와 심사를 거쳐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지난 6월 임시국회에서 여야가 상법 개정안 중 ‘3%룰’을 합의 처리한 사례를 언급하며, 협상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또 "야당 정책위의장을 맡았던 당시의 입장을 잊지 않고, 지금은 여당의 입장에서 역지사지의 자세로 협의에 임하겠다"며 "국민의힘 공약 가운데에도 전향적인 내용이 많은 만큼, 부족한 점은 수용하고 함께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