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수도권 경제 집중 가속… 전체 생산 절반 육박

우리나라 전체 경제 규모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수년간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수도권 쏠림 현상은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일 발간한 `2020년 지역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수도권의 총산출액(경상가격 기준)은 전국의 49.9%를 차지했다. 이는 2010년 44.1%, 2015년 46.8%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한 수치로, 수도권 경제 집중도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도권 다음으로는 동남권이 15.4%를 기록했으나, 2010년 19.2%에서 줄곧 감소세를 보였고, 충청권은 13.7%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총부가가치 비중에서도 수도권은 54.0%로 절반을 넘겼다. 이는 2010년 51.2%, 2015년 50.7%에서 꾸준히 증가한 결과다. 충청권은 2010년 10.9%에서 2020년 12.5%까지 상승했지만, 동남권(13.4%), 대경권(8.2%), 호남권(8.6%)은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산업구조 측면에서는 수도권, 제주, 강원이 서비스 중심의 산업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충청권과 동남권은 공산품 중심의 산업구조를 보였다. 서울은 전체 산업 중 서비스 비중이 87.5%로 전국 최고였고, 울산(79.4%)과 충남(65.5%)은 공산품 비중이 높았다. 건설업 비중은 세종(13.0%), 강원(11.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 내 생산유발계수는 수도권이 1.037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1.090), 울산(1.073), 서울(1.01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역 내 부가가치유발효과도 수도권이 0.513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0.542), 경기(0.519), 강원(0.495) 등도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역 간 교역 구조에서는 수도권의 순이출이 눈에 띄었다. 수도권의 이출 비중은 48.0%, 이입 비중은 43.8%였고, 순이출 규모는 2015년 26조2000억원에서 2020년 72조9000억원으로 약 3배 가까이 늘어났다. 수도권 외 지역 중에서는 충청권만이 순이출 플러스(12조3000억원)를 기록했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순이출 마이너스를 보였다.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2020년 지역 간 교역으로 발생한 부가가치는 699조4000억원으로, 이는 전국 총부가치(2036조2000억원)의 34.3%에 해당한다. 서울은 타지역 최종수요로 유입된 부가가치 비중이 28.8%로 가장 높았고, 이출 비중은 경기(22.7%), 서울(15.5%) 순이었다. 서울은 93조원의 부가가치 순이입을 기록하며 예외적으로 순이입 지역으로 나타났다.

취업 구조는 전 지역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서울(90.8%), 대전(84.5%) 등은 전국 평균(71.1%)을 크게 웃돌았다. 공산품 중심 취업자는 울산(34.3%)과 경남(24.6%)에 많았고, 농림수산업 비중은 전남(20.9%), 경북(17.2%)에서 높았다. 지역별 최종수요에 의한 취업유발계수는 제주(12.5), 대구(11.7), 전북(11.5) 순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의 최종수요 의존도를 보면, 강원은 지역 내 최종수요 의존도가 56.2%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타지역 최종수요(42.3%), 울산은 수출 의존도(34.8%)가 각각 가장 컸다.

한국은행 국민계정부 투입산출팀 부상돈 팀장은 "수도권과 충청권의 경제 비중이 2015년보다 상승했다"며 "교역 규모 확대와 자급률 증가가 두 권역의 부가가치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수도권은 경제 활동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비중이 높아 지역 권역 내 연계성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