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재명 대통령 “주식 투자, 새로운 투자 수단으로 자리 잡게 하겠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주식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주식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참석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주식 투자를 부동산 중심의 자산 시장 구조를 보완하는 대체 투자 수단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과 맞물려 주식시장 활성화 및 제도적 기반 강화에 힘을 실으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7월 2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전날 국무회의에서의 발언을 국민에게 직접 전하며, "주식 투자가 긍정적인 흐름 속에서 자리잡고 있다. 이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매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책 일정과 입장을 알리는 `대국민 보고` 방식을 이어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주택과 부동산 문제로 인한 혼란을 언급하며, 부동산 일변도의 투자 문화가 주거 불안정을 야기해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민국의 투자 수단이 주택과 부동산에 집중되면서 주거가 투기 수단으로 전락했고, 이는 곧 주거 불안을 불러왔다"며 기존 자산 투자 구조의 한계를 진단했다.

그러면서 최근 주식 및 금융시장의 안정적인 흐름을 언급하며 "이제는 주식이 부동산을 대체할 수 있는 투자 수단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며, 이 긍정적 흐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식 투자가 국민의 자산 형성 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상법 개정안, 특히 `3%룰` 조항과의 연계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조항은 감사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합산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여야는 이를 포함한 상법 개정안을 임시국회 회기 내 처리한다는 입장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개정안 처리를 오는 4일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세운 가운데, 여당도 내부적으로 3%룰을 포함하기로 의견을 모은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은 이러한 여야 입법 공조 흐름과 맞물려, 자본시장 신뢰 회복과 구조 개선을 위한 의지를 보여주는 발언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