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은경 복지부 장관 지명에 의료계, 민주당에 특위 구성 촉구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
정은경 복지부장관 후보자. ©뉴시스

이재명 정부가 첫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지명하자, 의료계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서울특별시의사회는 6월 30일 성명을 내고 "정은경 후보자 지명을 통해 지난 1년 5개월 넘게 이어진 의정갈등이 원만히 해결되길 기대한다"며 "더불어민주당은 정 후보자의 임명에 발맞춰 당 차원의 특위를 구성해 중재와 소통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6개 부처에 대한 개각을 단행하며,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다. 정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시절 코로나19 대응의 핵심 책임자로, 질병관리청 초대 청장을 역임하며 `방역의 아이콘`으로 주목받은 인물이다. 그녀가 공식 임명되면 정진엽 전 장관 이후 8년 만에 의사 출신 복지부 장관이자 역대 6번째 의사 출신 장관이 된다.

하지만 의료계는 여전히 팽팽한 긴장 상태다. 서울시의사회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의대 정원 확대 등 일방적인 의료정책으로 인해 의정갈등이 심화됐고, 이는 단순한 시각 차이를 넘어 국민 건강권과 생명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장기화된 갈등은 의료현장의 혼란을 초래하고, 국민 삶의 질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제는 여당이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서울시의사회는 민주당이 복지위, 교육위, 국방위, 기획재정위, 법사위 등 관련 상임위원회를 아우르는 당내 특위를 구성해 범정부 차원의 협의를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의정갈등은 단일 부처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며 "교육부는 의대 교육 개편을, 국방부는 전공의 병역 문제를, 기획재정부는 건강보험 재정과 예산 문제를, 법사위는 법률적 지원을 담당하는 등 각 부처가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의사회는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서 정부, 의료계, 국민 사이의 신뢰 회복을 위한 다리 역할을 해 주길 바란다"며 "의대 교육 정상화와 전공의 수련 체계 회복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