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공식 요청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6월 26일 국회에서 열린 시정연설 전후로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직접 철회 의사를 전달했고, 당 지도부 역시 기자회견 등을 통해 공개적으로 철회를 요구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에게 김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거나 재검토해달라고 요청드렸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이 직접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지만, 배석한 관계자가 `대통령 지지율이 50%를 넘는 것을 감안해달라`고 말했다”며 “이는 지지율을 근거로 검증이 부족한 인사를 임명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힐 수 있어 상당히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본회의장을 떠나며 이재명 대통령과 야당 의원들 간 짧은 대화도 오갔다. 나경원 의원은 “축하 인사를 드리며 김 후보자 지명 철회가 야당의 뜻임을 에둘러 전달했다”고 말했고, 권성동 의원은 “총리 임명은 안 된다고 말하자, 대통령이 알겠다는 듯 어깨를 가볍게 치고 지나갔다”고 전했다. 임종득 의원도 “총리 지명을 재고해달라고 말했더니 대통령은 `어렵지 않겠어요`라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오전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도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와 관련된 경과 보고가 이뤄졌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대통령이 아무리 경제와 민생, 협치를 강조해도 김 후보자 지명을 고수한다면 그 진정성을 국민은 신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문회에 증인도, 참고인도, 자료도 없었던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김 후보자는 도덕성과 역량 모두에서 총리로 부적격한 인사라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 역시 청문회 중단의 책임은 김 후보자와 더불어민주당에 있다고 지적했다. 인청특위 야당 간사 배준영 의원은 “지금이라도 자료를 제출하면 회의를 재개할 수 있다”며 “정책 역량, 도덕성,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끝까지 검증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배 의원은 “김 후보자는 5억 원의 수입에 비해 13억 원의 지출을 해, 8억 원의 자금 출처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며 “대출 상환 내역과 증여세 관련 자료 제출 없이 청문회를 이어갈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자료 제출을 거부한 책임은 후보자와 민주당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종배 인사청문위원장도 “청문회 일정은 이틀로 계획돼 있었지만, 여야가 합의하면 연장도 가능하다”며 “필요한 자료가 제출된다면 국민의힘도 청문회 재개에 적극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