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납북 피해자 가족 단체인 납북자가족모임이 정부 고위 인사의 위로 전화 이후 대북 전단 살포를 중단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이날 오전 경기 동두천시 벨기에·룩셈부르크 참전 기념탑을 찾아 한국전쟁 75주년을 기념해 참배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어제 정부 고위급 인사로부터 위로 차원의 연락을 받았고, 식사를 겸한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며 "피해 가족들과 논의한 뒤 대북 전단 중단 여부를 결정하고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밝히겠다"고 전했다.
최 대표는 이어 "이전에도 정부 측이 납북자 가족 할머니들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한다면 전단을 멈출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었다"며 "이번 정부 인사들은 납북자 문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과거에도 많은 도움을 준 분들이다. 정부가 이번 기회에 남북 간 대화를 통해 납북자 생사 확인의 단초를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오는 7월 10일로 예정된 집회 신고 기한 전까지 내부 논의를 거쳐 전단 살포 중단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전단 중단 선언이 나올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해당 단체는 지난 4월 27일 파주 임진각, 5월 8일 강원 철원군, 6월 2일 파주 접경지 등에서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 전단은 풍선뿐 아니라 무인기(드론)를 활용해 북한으로 전달됐으며, 납북자 관련 정보와 가족들의 호소문 등이 포함돼 있었다.
정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북 전단 엄정 대응` 지시 이후, 접경지역에 경찰 기동대를 배치해 전단 살포를 사전 차단하고 있으며, 관련 법 개정도 추진 중이다. 이는 전단 살포 행위에 대한 처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최 대표는 이날 동두천에서 참배를 진행한 배경에 대해 "전단 살포로 인해 파주, 연천, 인천 강화, 강원 등 주요 접경지역 접근이 어려워졌고, 아버지가 켈로부대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해 이곳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의 부친은 1967년 서해 연평도 인근에서 조업 중 납북된 인물로, 6·25 전쟁 당시 미군 산하 비정규 특수부대인 켈로부대 소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2년 북한에서 처형된 것으로 전해졌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지난 16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진심 어린 위로의 뜻을 전해온다면 대북 전단 살포를 중단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