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처리를 두고 여야 간 합의가 어려울 경우, 이번 주 내 본회의를 열어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상임위원장 재배분 문제에 대해 더 이상의 협상은 없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2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민생 추경은 매우 시급한 사안"이라며 "6월 임시회가 7월 4일 종료되기 전에 반드시 추경안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선출하고 본회의 일정을 여당과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협의가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이번 주 중에는 본회의를 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단호하게 밝혔다. 추경안 통과를 둘러싼 여야 간 힘겨루기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상임위원장 재배분 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차가 뚜렷하다. 김 대변인은 법제사법위원장 배분에 대해 "22대 국회 원 구성 당시 여야가 합의한 내용을 이행하면 된다"며 "지금은 새롭게 논의할 시점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여야 원내지도부는 지난 18일과 19일 두 차례 회동을 가졌지만, 상임위원장 배분과 본회의 일정 조율에 실패했다. 민주당은 21대 국회에서 체결된 `2년 임기` 원 구성 합의에 따라 법사위원장은 자신들이 맡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운영위원장, 예결위원장, 법사위원장을 모두 한 정당이 차지한 사례는 없었다며, 법사위원장 재배분을 요구하고 있다. 여야 간 정국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양당은 오는 23일 다시 만나 본회의 일정과 상임위 구성 문제를 재논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상황을 고려할 때, 타협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민주당 내 강경 기류도 이어지고 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겨냥해 "대통령을 만나 별다른 말씀이 없으면 덕담이나 하시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과 법사위원장 선임에 대한 야당의 우려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어 "한덕수 총리와 비교해도 김민석 총리는 능력과 자질 면에서 모두 우수하다"며 "법사위원장은 이미 1년 전 약속대로 선임하면 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