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마치고 귀국한 직후, 본격적인 내각 인선 작업에 들어갔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6월 19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일정과 함께 각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 절차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 김민석 총리 후보자와 이종석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를 우선 지명했으며, 일부 부처에 차관급 인사만 단행한 채 장관급 인선은 속도 조절을 해왔다. 그러나 지난 16일 국민추천제 접수가 마무리되면서 인사 검증이 본격화되고, 내각 구성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관가에서는 장관 후보자로 다양한 인물이 거론되고 있다.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는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 이억원 전 기재부 1차관 등이 언급되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윤호중, 안도걸 의원도 후보군에 포함됐다.
행정안전부 장관은 부총리급 격상이 유력한 가운데, 이해식 의원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경합 중이다. 유일하게 사표가 수리된 법무부 장관 자리는 윤호중, 박균택, 이건태 의원 등이 물망에 올랐다. 국방부 장관 후보로는 안규백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되며, 민홍철 의원, 황기철 전 보훈처장, 김민기 국회사무총장도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외교부, 환경부, 통일부 장관 후보로는 각각 조현 전 유엔대표부 대사, 김성환 의원, 정동영 전 의원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에는 윤후덕, 문진석 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에는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이 거론되고 있다.
총리 후보자인 김민석 의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오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재산 형성 과정, 아들 입시 활용 의혹 등을 제기하며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정치검찰의 표적수사라며 반박했고, 아들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입시 활용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러한 의혹이 임명 철회로 이어질 사안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G7 회의 참석길에 오르며 "청문회에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정치권 안팎에서는 총리 인준 절차가 마무리되는 즉시 장관 후보자 명단이 공개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통령실도 이 같은 흐름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총리 인선이 확정돼야 내각 인선도 공식화될 수 있다"며, "장관 후보자 발표는 총리 인준 이후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