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재명 대통령, G7 정상회의 참석 위해 출국 예정

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6일 캐나다로 출국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계엄령 위기로 멈춰 섰던 외교 행보를 정상화하는 첫 무대이자, 국제사회에 민주주의 회복을 공식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5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 내외는 16일 출국해 같은 날 오후 캐나다 캘거리에 도착할 예정"이라며, "첫 일정으로는 G7 회의에 초청된 주요국 정상들과의 양자 회담이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 내외는 이어 캐나다 정부가 주최하는 공식 일정에 참석할 계획이다.

이번 G7 정상회의는 캐나다가 주최국으로, 한국은 비회원국임에도 불구하고 공식 초청을 받아 참여하게 됐다. 위 실장은 이와 관련해 "이번 초청은 G7이 경제 강국 대한민국과 새 정부에 대해 큰 기대를 품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17일 오전, 캘거리에서 100km가량 떨어진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해 본격적인 G7 정상회의 일정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 그는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인공지능(AI) 연계를 주제로 한 확대 세션에서 두 차례 발언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국의 안정적인 에너지 시스템 구축 노력과 글로벌 AI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려는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정상회의 기간 중 이 대통령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양자 정상회담도 조율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 한일 정상회담은 실무 협의가 상당히 진전된 상태로, 구체적인 일정 조율이 진행 중"이라며 "다자회의 특성상 변수는 있지만, 양자회담 성사 가능성은 높다"고 밝혔다. 반면, 한미일 3자 회담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다뤄질 핵심 의제로는 관세 등 무역 현안과 안보 관련 이슈가 거론된다. 위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미국과 긴밀한 협의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실무팀에 전달했으며, 정상 간 회동이 성사될 경우 협상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만남 가능성도 언급됐다. 대통령실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G7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다며, "현장에서 마주칠 경우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G7 정상회의에서는 `중국 견제` 움직임이 거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한국은 미국과 G7 국가들과 가치를 공유하며 협력하고 있지만, 동시에 중국 및 러시아 등 주변국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대통령은 척 지고 살지 않는 외교를 강조해왔으며, 사안별로 협의와 조정을 통해 접근할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