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앤디 김 상원의원 “주한미군 감축, 의회와 협의 없는 일방 추진 반대”

한국계 최초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 상원의원이 28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 상원 건물에서 한국 언론과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계 최초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 상원의원이 28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 상원 건물에서 한국 언론과 기자간담회를 열고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상원에 입성한 앤디 김 의원이 주한미군 감축과 관련된 트럼프 행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정면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28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상원 건물에서 진행된 아시아 언론 간담회에서 “한국의 파트너들과 의회의 긴밀한 협의 없이 이뤄지는 실질적인 미군 감축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의 발언은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트럼프 행정부의 주한미군 4,500명 감축 및 괌 등지 재배치 계획과 관련된 것이다. 해당 보도는 미국 국방부가 부인했으나,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며 여운을 남겼다.

김 의원은 주한미군이 단지 한국만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미국에도 분명한 전략적 이익을 제공하는 자산임을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한국의 이익 관점에서만 보는 시각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이 논의를 철회하고, 의회 및 한국의 차기 정부와 대화하면서 상호 안보 관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한 현재 동료 상원의원들과 주한미군 문제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초당적 지지 분위기가 강하며, 앞으로 어떤 형태의 공동 대응이 가능한지 논의해 가겠다”고 밝혔다. 주한미군 임무 확대 논의에 대해서는 “지금은 북한 억제에 집중해야 할 시기이며, 그 우선순위는 변함이 없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대외 정책 전반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동맹국에 대해 부과되는 관세 정책을 문제 삼으며 “동맹국인 한국에 대해 처벌적 태도를 취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6월 출범하는 한국 새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미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설득해야 하며, 자신 또한 한미 간 가교 역할을 자임하겠다고 밝혔다.

유학생 비자 규제 강화 조치에 대해서도 비판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미국 내 다수의 주립대와 컬리지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등록금에 재정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며, 비자 규제가 양당 지역 모두에서 반발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향후 관련 입법이나 예산 배정 논의에서 양당 간 협력의 여지를 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최근 미 하원을 통과한 트럼프 행정부 주도의 감세 법안에 대해서는 “역겨운 법안”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법안은 저소득층 대상의 의료·복지 예산을 대거 삭감하고, 대규모 감세를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의원은 “감세로 가장 큰 혜택을 보는 것은 부유층이며, 그 피해는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집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와 태양광 세금 혜택 축소는 미국에 투자한 한국 기업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번 간담회는 김 의원의 상원 입성 150일을 맞아 열린 자리였다. 김 의원은 밥 메넨데스 전 상원의원의 사임 이후 보궐선거를 통해 당선됐으며, 한국계 미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상원의원이다. 그는 보스턴에서 태어나 국무부, 국방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등에서 공직을 역임했으며,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사령관의 참모로도 근무한 이력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