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김문수 발언에 불교계 반발… 사과 촉구 이어져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종교 관련 발언을 둘러싸고 불교계의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주요 불교 단체들은 김 후보가 특정 종교를 편들었다며 이를 공직 후보로서 부적절한 행위로 규정하고, 일제히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 산하 종교편향불교왜곡대응특별위원회는 최근 성명을 통해 김 후보가 교육 정책 협약식에서 한 발언이 단순한 기독교계에 대한 덕담을 넘어, 헌법에 명시된 대한민국의 건국 역사까지 부정하고 왜곡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후보가 자신을 `신의 사명`을 받은 존재로 언급한 점을 지적하며, 특정 종교 중심의 국가관을 드러낸 것은 명백한 종교 편향이며, 국민 간 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 역시 향문 스님 명의의 성명을 발표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김 후보의 발언은 대통령 후보로서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문제의 발언 이후에도 김 후보 측이 내놓은 입장문에는 반성이나 문제의식이 전혀 담겨 있지 않다고 비판하며, 공식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불교인권위원회도 공동대표인 진관 스님과 도관 스님 명의의 성명을 통해 김 후보의 종교 인식을 "우주와 국가의 존재 방식을 부정하는 편협한 관점"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해당 발언이 민주주의 헌법 정신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강조하며, 국민의힘이 대통령 후보 자격을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이처럼 불교계의 전방위적인 비판은 종교적 신념 표현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특히 정치권 내에서의 경계를 다시금 조명하게 만들고 있다. 김 후보가 행사에서 기독교에 대한 감사와 자신의 신앙을 밝힌 것이 불교계에는 특정 종교를 국가적 정체성에 포함시키려는 시도로 비쳤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교분리는 헌법적 원칙이나, 정치인의 개인적 신념 표현까지 전면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여전히 분분하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반응이 오히려 정치인의 신념 표현 자체에 과도한 제약을 가하고, 종교 간 긴장을 유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