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가 제1야당 이재명 후보와의 대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으로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그 전제로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상승, 즉 ‘자강’을 강조하고 나섰다. 단일화 논의가 단지 정치적 합종연횡을 넘어 실질적인 승리를 담보할 수 있는 조건 위에서만 성립 가능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윤재옥 국민의힘 선대위 총괄본부장은 23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준석 후보와 단일화를 하려면, 우리 쪽 후보가 이길 수 있는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 협상도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며 “무조건 단일화에 매달리기보다는,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데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이어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줄이고, 지지율에서 따라잡는 그림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며 “지금은 단일화보다 자강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단순한 후보 단일화 논의로는 대세를 바꾸기 어렵다는 현실 인식과 함께, 보수 진영 내부의 경쟁력을 키우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읽히는 대목이다.
같은 간담회에 참석한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이 같은 방향에 힘을 실었다. 신 수석대변인은 “단일화는 끝까지 노력해야 할 과제”라면서도 “현재 흐름상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서로를 잠식하지 않고, 오히려 이재명 후보 지지율이 빠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양자 단일화 시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단일화 논의에 대해 “방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긴 이르지만, 시간이 갈수록 ‘단일화를 하라’는 국민 여론이 커질 것이라고 본다”며 “그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찾는 방향으로 접근하겠다”고 설명했다.
단일화의 효과에 대해서도 신 대변인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단일화가 이뤄지면 현재 여론조사 수치보다 훨씬 강력한 파급력이 있을 것”이라며 “물론 이준석 후보 지지자들이 모두 김문수 후보에게 이동하지는 않겠지만, 단일화 자체가 이재명 후보의 당선을 막아야 한다는 국민적 열망을 결집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결국 단일화는 선거 막판에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과거 사례를 봐도, 선거전 초반부터 단일화를 주장한 후보는 없었다. 중요한 건 마지막 순간의 결단이고,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이견은 국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단일화 협상 시점이 늦은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도 신 대변인은 “사전투표 전에 결론을 낼 수 있다면 시간적 여유는 있다”며 협상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시사했다.